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Professor Emerita

박순영

Sunyoung Pak

Biological Anthropology
suny@snu.ac.kr
Education
1985 – 1988   서울대학교 인류학 학사 (B.A.)

1989 – 1995   뉴욕주립대학교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인류학 박사 (Ph.D.)

Career Overview

1996 – 2002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연구원
2002.07 – 2022.08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2008.09 – 2010.08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학과장
2012.03 – 2014.03   사회과학대학 학생부학장
2014.03 – 2014.08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학과장

Research Interest

  •  Human Adaptability
  •  Growth and Development
  •  Nutrition and Evolution
  •  Disease and Evolution
  •  Evolutionary Ecology
  •  Evolutionary Psychology
  •  Medical Anthropology

Dissertation

 A longitudinal study of growth, matura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among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 (Ph.D.)

Article

  1. 박순영. (1996). 한국 도시 아동의 성장 발육상의 특성과 행동 발달간의 상관관계. 한국문화인류학, 29(2), 195-220.
  2.  박순영. (1998). 학회 창립 40주년 기념특집/연구논문: 인류 진화사 모델에 나타나는 여성의 모습: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한국문화인류학, 31(2), 519-557.
  3.  박순영. (1999). 성선택 (sexual selection), 안면의 매력, 그리고 안면 유형성숙(幼形成熟)의 관계에 대한 일연구. 한국문화인류학, 32(1), 253-285.
  4.  박순영. (2000). 시론/북한 식량위기의 장기적 영향 평가: 인체의 성장발육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그 사회적 함의. 한국문화인류학, 33(1), 207-240.
  5.  박순영. (2000). 중국 체류 북한 어린이의 성장발육 상태 연구. 비교문화연구, 6(2), 199-219.
  6.  박순영. (2002). 탈북자 인체측정자료를 이용한 북한의 생물학적 복지 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35(1), 101-127.
  7.  박순영. (2001). 특집/동강댐의 환경사회학]’앞강’에서’동강’까지-영월댐 수몰예정지 주민들의 경험. 환경사회학연구 ECO, 200-237.
  8.  박순영. (2003). 마음의 진화와 문화. 철학연구, 59, 335-367.
  9.  Pak, S., & Lee, H. (2003). The growth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in China. Korea Journal, 43(3), 165-190.
  10.  Pak, S., & Lee, H. (2004). The biological standard of living in the two Koreas. Economics & Human Biology, 2(3), 511-521.
  11.  박순영, 이홍종, 최종택, 김현욱, 진주현. (2004). 신계리 유적: 부록: 천안 목천면 신계리 출토 인골 분석. 매장문화재연구소 연구총서, 16, 99-101.
  12.  박순영. (2004). 일제 식민통치하의 조선 체질인류학이 남긴 학문적 과제와 서구 체질인류학사로부터의 교훈. 비교문화연구, 10(1), 191-220.
  13.  박순영. (2005). 리뷰논문: 다윈주의 성선택 이론과 페미니즘 젠더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38(2), 29-73.
  14.  박순영. (2006). 일제 식민주의와 조선인의 몸에 대한” 인류학적” 시선. 비교문화연구, 12(2), 57-92.
  15.  박순영, 이종인, 김희경. (2007). 가정환경 특성이 만 3세 유아의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4, 91-119.
  16.  박순영, 김예성. (2008).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신체특성과 학교적응 및 심리적응에 대한 연구. 아동과 권리, 12, 19-39.
  17.  Pak, S., Lee, S.-J., An, H., Ahn, S.-J., Kim, Y. H., & Lee, J. W. (2008). Early prediction method using stature growth parameters. Annals of Human Biology, 35(5), 509-517.
  18.  박순영, 이종인, 이신재, 김희경, 안홍석. (2008). 가정환경 특성에 따른 아동의 성장발육과 성인신장 추정치.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6(4), 239-247.
  19.  박순영, 이준정, 하대룡, 우은진, 이청규, 김대환, 김종일, 한영희. (2008).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성격 연구: 출토 인골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68, 128-155.
  20.  Pak, S., & Schwekendiek, D. (2009). Recent growth of children in the two Koreas: a meta-analysis. Economics & Human Biology, 7(1), 109-112.
  21.  Pak, S., Schwekendiek, D., & Kim, H.-K. (2009). Variations in the birth-season effects on height attainment in the two Koreas. Annals of Human Biology, 36(4), 421-430.
  22.  박순영, 이종인, 김희경. (2009). 유아의 신장과 체중 성장특성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3, 379-397.
  23.  Pak, S., & Lee, H. (2010). The growth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6 to 19 years of age. Economics & Human Biology, 8(3), 385-395.
  24.  박순영, 김예성. (2010). 유아기 가정환경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17, 111-125.
  25.  Pak, S., Schwekendiek, D., & Kim, H. K. (2011). Height and living standards in North Korea, 1930s–1980s. The Economic History Review, 64(1), 142-158.
  26.  박순영. (2011). 영양 수준의 향상에 따른 신장 성적이형성의 변화. 한국영양학회지, 44(2), 162-170.
  27.  박순영, 우은진, 정양승, 조길환. (2011). 조선 중ㆍ후기 사람들의 연령별, 분묘형식별, 사망연령별 치아 선형 에나멜 형성부전증 발생 양상.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4(3), 123-134.
  28.  박순영, 우은진, 정양승, 조길환. (2011). 서울 은평 분묘군 출토 조선시대의 인골에 나타난 사지골의 퇴행성 변화와 분묘 형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야외고고학, 12, 139-162.
  29.  박순영. (2011). 분묘에서 발굴된 사람뼈로 추정한 조선시대 성인 남성의 키에 대한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4(4), 185-193.
  30.  박순영, 우은진. (2012). 역학적 스트레스 반영 뼈대지표를 이용한 연구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재고.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5(3), 113-123.
  31.  Woo, E.-J., & Pak, S. (2013). Degenerative joint diseases and enthesopathies in a Joseon Dynasty population from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Human Biology, 64(2), 104-119.
  32.  Jeong, Y., Woo, E.-J., & Pak, S. (2013).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dental fluctuating asymmetry between hypoplastic and non-hypoplastic skeletal groups from the Joseon Dynasty (mid 15th–early 20th century), South Korea. Archives of Oral Biology, 58(8), 1047-1056.
  33.  Woo, E.-J., & Pak, S.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vertebral degenerative joint disease in a Joseon Dynasty populatio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archaeology, 24(6), 675-687.
  34.  박한선, 박순영. (2015). 진화정신의학의 연구 방법. 신경정신의학, 54(1), 49-61.
  35.  정현우, 우은진, 박순영. (2015).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한 조선시대 머리뼈 형태의 변이양상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8(1), 27-35.
  36.  정현우, 우은진, 박순영. (2016).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한 조선시대 사람뼈 집단의 눈확과코의 좌우 비대칭 양상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9(4), 135-143.
  37.  Jung, H., Woo, E.-J., & Pak, S. (2016). A comparison of cranial fluctuating asymmetry between the two sexes in a Joseon Dynasty population of Korea. Anthropologischer Anzeiger, 73(3), 215-223.
  38.  이철희, 도민영, 박순영, 홍두승. (2016). 한국 병적기록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 경제논집, 55, 29-59.
Translated Book
  •  제인 구달. (1996). 『제인 구달침팬지와 함께 한 나의 인생』 박순영 역서울사이언스북스.
  •  제인 구달. (2000). 『희망의 이유』. (박순영 역), 서울궁리.
  •  애덤 쿠퍼. (2005). 『인류학과 인류학자들』. (박자영 & 박순영 역) . 파주한길사
Co-authored and Book Chapter
  •  박순영, & 한경구. (1998).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서울.
  •  서울대학교 인류학연구회 편. (1998). 인류진화사에서 父의 양육투자 증대가 일어난 맥락에 대한 한 추론. 『한국 인류학의 성과와 전망』서울집문당.
  •  한상복 외. (2000). 영양학적 인체계측학 적용의 방법론적 문제에 대한 일고찰. 『韓國文化人類學의 理論과 實踐』pp. 213-242. 서울내산한상복교수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Recent Works
  •   남한 거주 탈북 어린이들의 성장 특성 연구
  •   탈북자 신체 특성에 반영된 북한의 사회상 연구
  •   군 징집 신체검사 자료에 반영된 남한의 사회상 연구
  •   발굴 인골자료 분석을 통한 사회사 연구